남과 북의 정상이 아래위를 오가며 평화와 상생의 손을 맞잡게 된 지금
1998년 가을에 시작되어 2003년까지 모두 여섯 차례에 걸쳐 북녘 땅 여기저기를 돌며 낯을 익힌 사람들 바로 북녘 땅 우리의 또 다른 얼굴들이다.
세월과 먼지에 묻힌 필름들을 모두 꺼내어 살피는 지금, ‘사람인’ 그들과 나눈 모든 기억들이 되살아나면서 다시 이 걸음을 잇고 싶다는 생각이 온전히 가슴을 뛰게 만든다. 알사탕 하나를 입에 물고 있는 듯 성큼 달달해진다.
“림선생! 찍고 싶은 대로 다 하시라요. 우리가 한번 믿어 보갔습네다!”
무엇을 보게 될지, 어느 순간에 셔터를 누르게 될지 사실 아무 것도 확신할 수는 없었다. 우리 일행의 방북일정만 기록하고 기념이 될 자리 앞에 선 채 피사체가 되고 싶지는 않았다. 오히려 비행기에서 내리는 순간 달아오른 막연한 기대심이 더 컸고, 웃음으로 내민 북측 안내원들의 손을 맞잡으면서 확신했다. 지금까지 알고 있던 것과는 다른 것을 볼 것이라는 것을
“림선생! 사는 거이 뭐 다 똑같디요. 무엇이 좋아서 그리 찍습네까? 하하하.”
그 사이 몇 번이나 들었던 북측 안내원의 농 섞인 질문이다. 평범하고도 소소한 일상성에 두 눈을 고정한 채 좋아라 히죽거리는 나의 모습이 그들의 눈에는 웃음이 나올 만한 일이기도 했다. 그러나 빈곤과 억압 위주의 체제적 단면들만 주입받아 온 나에게는 일상의 이질감을 벗어나는 삶의 풍경들이었고, 스스로 인식의 전환을 이룰 만한 통렬한 쾌감의 정경들이었다.
여기는 북녘 땅 평양임을 자각하는 비현실적인 실체감 속에서 오롯이 눈과 귀를 모으게 되는 특별한 순간들이 거짓말처럼 여기저기에서, 그렇게 내 안으로 들어왔다.
임종진의 작가노트 中
임종진
예비비사회적기업 사진치유전문 <(주)공감 아이> 대표
광주트라우마센터 5·18사진치유 전문위원
전 월간 말, 한겨레신문 사진기자
특별초대전 - 임종진 북녘사진전
임종진은 ‘사람이 우선인 사진’을 최우선의 가치로 여기며 자신의 사진이 하나의 작품이 아닌, 사람을 위한 ‘쓰임’의 도구로 공감과 이해의 매개체가 되길 원한다. 특히 모두 여섯차례에 걸친 방북취재로 김정일 위원장이 기억한 유일한 남쪽의 사진가라는 수식어답게 북한을 가장 많이 방문한 사진가이다.
현재 다큐멘터리와 사진심리치료의 경계점에서 인간의 존엄을 회복하는 치유적 사진행위의 영역을 개척하고 있다.
대동강 강변에서 만난 대학생들. 이들과 말을 튼 뒤 함께 뱃놀이도 하고 밥과 맥주를 나누는 시간들이 뒤를 이었다. 서울에서 온 손님인 나는 그들에게 아주 특별한 손님이 되었다.
북녘일상 017대동강 강변에서 만난 대학생들. 이들과 말을 튼 뒤 함께 뱃놀이도 하고 밥과 맥주를 나누는 시간들이 뒤를 이었다. 서울에서 온 손님인 나는 그들에게 아주 특별한 손님이 되었다.
김일성종합경기장에서 수만 관중을 대상으로 공연을 마친 뒤 운동장 바깥으로 나가는 아이들이다. 뭔가 성공적으로 해냈다는 득의만만한 표정들로 왁자지껄 신이 난 아이들을 보면서 덩달아 손을 흔들어주기도 했다.
북녘일상 015김일성종합경기장에서 수만 관중을 대상으로 공연을 마친 뒤 운동장 바깥으로 나가는 아이들이다. 뭔가 성공적으로 해냈다는 득의만만한 표정들로 왁자지껄 신이 난 아이들을 보면서 덩달아 손을 흔들어주기도 했다.
가족 모두가 맞잡은 손들이 쑤욱 눈에 밟혔다. 다를 것 없이 같거나 비슷한 형상들 속에서 가슴 뭉클한 기운이 자꾸 느껴졌다. 남과 북이 서로 손을 잡게 되는 날 이 느낌은 더해지리라 믿는다.
북녘일상 030가족 모두가 맞잡은 손들이 쑤욱 눈에 밟혔다. 다를 것 없이 같거나 비슷한 형상들 속에서 가슴 뭉클한 기운이 자꾸 느껴졌다. 남과 북이 서로 손을 잡게 되는 날 이 느낌은 더해지리라 믿는다.
“서울에서 왔는데 두 분이 참 잘 어울리네요. 축하합니다!” “아! 반갑습네다.”
북녘일상 020“서울에서 왔는데 두 분이 참 잘 어울리네요. 축하합니다!” “아! 반갑습네다.”
눈앞에 펼쳐지는 이 환한 미소를 봐 달라고. 가득한 의구심을 풀고 이념과 이성의 관점이 아닌, 감정과 정서적인 교감으로 살펴달라고. 낡아 녹이 슨 편견의 장막을 걷어내면 맨 먼저 이 웃는 얼굴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가만히 전해본다.
북녘일상 029눈앞에 펼쳐지는 이 환한 미소를 봐 달라고. 가득한 의구심을 풀고 이념과 이성의 관점이 아닌, 감정과 정서적인 교감으로 살펴달라고. 낡아 녹이 슨 편견의 장막을 걷어내면 맨 먼저 이 웃는 얼굴을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가만히 전해본다.
묘향산 등반길에 만난 소녀들은 말을 걸까 말까 망설이는 듯 했다. 짧은 단발머리에 얹힌 머리핀들이 유난히 눈에 들어왔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북녘일상 012묘향산 등반길에 만난 소녀들은 말을 걸까 말까 망설이는 듯 했다. 짧은 단발머리에 얹힌 머리핀들이 유난히 눈에 들어왔던 기억이 지금도 생생하다
처음 이 아이의 노래를 들었을 때 약간의 경직되는 느낌이 있었다. 너무 어른 흉내를 내는 듯한 표정을 접하면서 순간적으로 느낀 당혹감이었다. 그러나 곧 아무렇지도 않게 박수를 치며 최고의 무대를 선보이려는 소녀의 열정에 넋을 잃기 시작했다.
북녘일상 002처음 이 아이의 노래를 들었을 때 약간의 경직되는 느낌이 있었다. 너무 어른 흉내를 내는 듯한 표정을 접하면서 순간적으로 느낀 당혹감이었다. 그러나 곧 아무렇지도 않게 박수를 치며 최고의 무대를 선보이려는 소녀의 열정에 넋을 잃기 시작했다.
청순한 눈빛의 맑은 얼굴을 지닌 그녀의 이름은 장류진씨. 김일성종합대학 경제학부 학생이었다. 일행들 틈에 섞인 그녀는 앳된 얼굴 가득 붉은 빛을 띤 채 배시시 웃기만 했다. 우리는 다르지만 참으로 같다.
북녘일상 018청순한 눈빛의 맑은 얼굴을 지닌 그녀의 이름은 장류진씨. 김일성종합대학 경제학부 학생이었다. 일행들 틈에 섞인 그녀는 앳된 얼굴 가득 붉은 빛을 띤 채 배시시 웃기만 했다. 우리는 다르지만 참으로 같다.
제 4회 아시아문화국제사진공모전
QUICK MENU
온라인 전시회 EXHIBITION |
제 4회 아시아문화국제사진 공모전
QUICK MENU